
1980년도의 개념인 ICIDH의 장애에 대한 정의는 국제 장애 분류로 장애에 대한 개념적 틀을 발표해 분류 기준의 적용을 권장한 것으로써 기능장애는 해부학적, 생리적, 심리적 구조 혹은 기능 손실과 비정상이 1차적 장애로써 예방을 강조하고 병리적 상태가 외재화가 되어 있다는 뜻을 지닌다. 능력장애는 기능장애로부터 야기된 것으로 일반적으로 정상으로 간주되는 범위 혹은 그 방식으로 활동하는 수행 능력 결여 혹은 제약을 말하는 2차적 장애로써 재활을 강조하고 있다.
사회적 불리는 능력장애 혹은 기능장애를 야기하는 것으로써 성, 연령, 사회 문화적 요인에 의해 정상적인 역할 수행의 제약 혹은 방해의 개인적 불이익의 3차적 장애로써 기회균등을 뜻한다. 한편 ICIDH-2는 상황적인 요인을 포함해 ICIDH와 차이를 가지며 장애 개념으로 참여, 활동 장애, 손상 장애로 분류해 장애의 개념을 확대해 환경적 맥락을 더 강조한 의의가 있다.
ICIDH에서 지니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한 ICIDH-2...
#ICIDH
#WHO가정의하고있는장애의개념
#국제장애분류
원문링크 : WHO가 정의하고 있는 장애의 개념 중 1980년 ICIDH와 1997년 ICIDH-2 비교를 통해 본인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개념을 논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