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이트와 융은 무의식의 영향력을 둘 다 강조하고 있지만 무의식의 성격을 바라보는 입장은 매우 다르다. 두 학자의 입장 중 누구의 입장을 지지하나요?


프로이트와 융은 무의식의 영향력을 둘 다 강조하고 있지만 무의식의 성격을 바라보는 입장은 매우 다르다. 두 학자의 입장 중 누구의 입장을 지지하나요?

프로이트와 융이 주장하는 무의식의 내용과 기능은 차이가 있다. 융의 무의식관은 무의식이 자율성을 가지고 있는 창조적 조정 능력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프로이트는 무의식을 의식에서 무시되거나 잊힌 내용들이 억압되는 것이라고 보았는데 이는 개인의 무의식 차원만을 인정한 것이다. 또한 무의식의 본질은 리비도에 있다고 보았으며 인간행동의 모든 동기는 파괴성과 성욕으로 나타난다고 보았다.

반면 융은 리비도를 성적인 것만이 아니라 모든 지각, 사고, 충돌, 감정의 원천이 되는 에너지로 간주하였으며 마음은 쾌감원칙이 아닌 에너지에 의해서 자율적이면서 일정 법칙으로 조절된다고 하였다. 즉, 프로이트가 무의식을 부정적인 것에 중점을 두었다면 융은 부정적 측면보다는 긍정적이며 창조적 측면을 중요시한 것이다.

나는 융의 무의식의 입장을 지지하는데 무의식은 아동기 초기에만 개인적인 경험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융의 의견처럼 개인과 집단 무의식이 함께 적용하게 되면서 발휘하게 된다고 생각한다. 또한 무...


#무의식 #무의식의성격을바라보는입장 #융 #프로이트

원문링크 : 프로이트와 융은 무의식의 영향력을 둘 다 강조하고 있지만 무의식의 성격을 바라보는 입장은 매우 다르다. 두 학자의 입장 중 누구의 입장을 지지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