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첫 번째로는 역할 문화이다. 역할은 조직 내 각 위치에 있는 직원들이 수행하도록 기대되는 과업 행동을 의미한다.
역할 문화는 기대에 대한 조화를 강조하고 합리성을 중요시 여긴다. 두 번째로는 성취 문화로 규칙을 적합화하기보다는 직무 자체에 관심을 가지고 직무를 수행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조직의 구성원들은 그들 자신의 문제 해결을 위하여 상호작용을 중요시 여기고 내재적인 만족에 보다 동기부여될 수 있다. 세 번째로는 권력 문화로 조직은 전통적인 가족의 공동 소유적인 기업형태로 가부장적인 지위의 리더에 의해 구성원의 지배 및 감독이 된다.
네 번째로는 지원 문화로 조직은 구성원에게 상호협조, 연관성 등 대인관계를 원활히 해 만족도를 높일 수 있다. 조직 구성원이 조직과 개인적인 이해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하며 진실한 구성원으로서의 소속감을 갖도록 만든다.
본인의 기업은 성취 문화에 속한다. 하나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하여 직원들 간 의사소통을 꾸준히 함으로써 서로에게 피드백을 받아 부...
#기업은성취문화
#기업체의공식화정도
#헤리슨기업문화
원문링크 : 헤리슨(R. Harrison)는 기업문화를 기업체의 공식화 정도와 집권화 정도를 4가지 유형을 서술하고 어떤 유형에 속하는지 대해 서술해 보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