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89년 11월 20일 유엔이 채택한 어린이 권리조약인 '유엔 아동권리협약' 31조에는 우리는 충분히 쉬고 놀 권리가 있다는 항목이 있다. 이 협약은 한국을 포함한 세계 192개 나라가 합의한 것으로서 유엔 아동 권리위원회는 놀이를 '어린이 스스로 조절하고 시도하는 행동, 활동, 과정이라고 정의한다.
이럴 듯 놀이는 아이들에게 규칙이란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게 해주는 매개체이기도 하며 스스로 활동하는 자발성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작용하고, 아이들이 배움을 시작하는 발판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아이들에게 건강한 놀이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교사는 각 영역별로 적절한 발달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어야 하며, 가능하면 아이들이 자유롭게 놀이할 수 있도록 하되, 때로는 제지해야 할 부분은 제지하면서 섬세하게 지도하고 아이들의 모든 활동을 세심하게 관찰해야 한다.
그리고 모든 놀이 영역에서 다양한 역할을 남아와 여아가 모두 함께 해볼 수 있는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지도해야 하며...
#영유아교수학습을위해교사가지원해야할사항
#유아놀이경험을통해배움
#유아의놀이는배움의시작
원문링크 : 유아의 놀이는 배움의 시작이다 유아는 자발적으로 시작하고 즐겁게 몰입하며 발전시켜가는 놀이 영유아교수학습을 위해 교사가 지원해야 할 사항에 토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