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적자원관리에서 인적 속성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바람직하지 않은가?


인적자원관리에서 인적 속성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바람직하지 않은가?

1) 인적 속성 기준 인사관리 인적 속성을 기준으로 한 인사관리는 사람 중심의 인사관리이다. 과거에는 인간을 수동적인 존재로 보아서 다른 사람들의 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그리서 조직 구성원들을 지휘나 통제의 대상으로 보았으며 인사 관련 업무들은 단순히 현상을 운영한다는 관점에서만 흘러가게 되었다. 그래서 조직 구성원들의 성장이나 커리어, 성과평가 등에 대한 개념은 부족한 것이 사실이었다.

하지만 현대 사회로 오게 되면서 인간을 능동적인 존재로 보아서 자율성에 기초한 관리를 하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인 것으로는 목표관리시스템이 있다.

조직 내부에서는 인사관리를 할 때 전통적으로 사람을 중심에 두어왔다. 사람을 중심으로 한다는 말에 깔린 전제는 사람을 기업이 원하는 성과를 달성하기 위한 일종의 도구로 보았다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도구로서의 사람은 기업 내부에서 목표로 하는 성과를 제대로 내지 못한다면 필요성이 없다고 느껴졌으며, 기업에서 도태되어버리게 되고 곧 사라져야 할 대상이...


#인적관리 #인적속성기준 #인적속성기준을적용하지않아야하는이유 #인적자원관리

원문링크 : 인적자원관리에서 인적 속성 기준을 적용하여 관리하는 것은 바람직한가? 바람직하지 않은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