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람들의 성격을 형성하는 요인에 대해 환경적 요인의 영향이 큰지 유전적 요인의 영향이 큰지에 대해서는 아직까지도 많은 공방이 벌어지고 있다. 본인은 환경에 대한 요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이다.
독일에서 범죄 관련 형사책임이 생기는 만 14세를 기준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범죄를 저질러서 경찰서에 정보가 등록된 아이들과 그렇지 않은 아이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위법 행위와 어떻게 연결되는지 가정환경, 건강, 학교, 직업, 성격 등 263가지의 항목들을 조사하여 비교해 본 결과에 따르면 비행 청소년은 성인이 되어서도 범죄에 빠져나오지 못하는 아이들도 존재했지만, 그렇지 않은 아이들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오히려 청소년기에 범죄를 저지른 경험이 있는지에 대한 것보다는 나쁜 가정환경과 사회 환경에 노출된 아이들이 성인이 되어서도 범죄를 자주 일으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공격적인 성향을 가지고 있거나 행실이 좋지 않은 아이들이 많다면 비행을 저지를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어...
#사회환경과학습적인면
#생물학적유전적인면
#자아와인성형성
원문링크 : 자아와 인성 형성에 있어서 생물학적 유전적인 면과 사회환경과 학습적인 면으로 쟁점화할 때 어느 쪽이 더 타당한지 일상생활에서의 예로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