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동 발달에서 성숙 이론은 환경이 성장에서 주도적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유전적으로 프로그래밍이 된 정해진 순서로 발달한다고 주장하는 이론이다. 그러므로 각각 아이들은 저마다의 발달 속도가 있으므로 발달이 늦어지더라도 인내하고 기다려 줘야 한다.
성숙 이론의 대표적 학자는 미국의 심리학자 아널드 게절이 있고, 게젤이 주장한 성숙 이론을 살펴보면 첫째, 유기체는 환경에 상관없이 발달하고, 둘째, 성장 모형이 유전적인 요소들로 구성된다고 보았다. 셋째, 환경적인 요인은 발달을 유발하지 못하고 넷째 아동의 성장과 발달에서 성숙이 더 중요하다고 말했다.
발달의 원리는 발달 방향의 원리에서 발달은 정돈된 방식에 의해 진행되는데 먼저 큰 부위에서 신체의 중심이 되는 부위의 발달이 이루어지며 작은 부위에서 말초의 발달로 진행된다. 상호 교류의 원리는 먼저 한 손을 사용하며 다른 한 손을 사용하고 양손을 사용하게 되는 반복적인 과정을 거치며 발달한다.
기능의 비대칭 원리는 비대칭적 행동이 대칭적...
#성숙이론
#아동발달
#아동발달에대한질문
#아동발달은성숙과학습
원문링크 : 아동 발달에 대한 질문과 논쟁들이 있다. 아동 발달은 성숙과 학습 중 어느 것에 더 영향을 받는다고 생각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