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무리한 조사는 연구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과지를 취합하면서 신뢰도 높은 결과를 도출하는 것에 대하여 어려움을 느끼게 될 것이고, 이러한 문제는 궁극적으로 연구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게 될 것이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위와 같은 경우 질문지를 대체하거나 또는 또 다른 척도를 사용하는 것이 낫다고 생각한다. 물론 100개가 넘는 문항을 보조원의 도움으로 해결할 수 있다고 말하는 사람이 있을지 모른다.
하지만 그에 소비되는 시간과 돈도 문제가 아닐 수 없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노인들의 집중력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고 본다.
그래서 차라리 100개의 설문을 진행하느니 면담으로 내용을 취합하는 방법이 낫다는 생각이 든다. 하지만 주제가 주제인 만큼 면담으로 연구 결과를 내는 일은 쉽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논문은 에세이가 아니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결론적으로 문항수를 반 이상으로 줄여서 행복에 대한 인식 조사를 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생각을 했다.
행복을 포괄...
#노인들에게무리한조사
#노인들의인식조사
#행복과관련한기존척도
원문링크 : '행복' 과 관련한 기존 척도를 사용하여 노인들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한다. 질문이 100개가 넘는 문항을 그대로 사용해야 할까? 아니면 문항을 줄여야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