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는 조사대상자의 사생활을 보호하며 익명성을 보장할 수 있고 조사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조사 범위와 절차 및 조사의 혜택과 위험성 그리고 조사 결과의 활용계획과 개인정보보호에 관해서 사전에 충분히 알려줄 수 있으며, 자발적인 참여와 동의를 이끌어내어야 하고 조사과정에 있어서 본인이 원하면 언제라도 중단을 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고지되어 있는 동의는 조사자를 보호하기 위해 활용이 되며 특히나 아동 대상 연구에 있어서는 부모 등 후견인에게 고지가 되어 있는 동의를 받을 수 있고 조사대상자에게 있어 직간접적 피해를 주지 않을 수 있는 것이며 조사 연구에 있어 인간을 수단으로 이용하지 않을 수 있다.
연구를 하는 목적이라고 하더라도 윤리적인 것을 벗어나면 안 되는 것이다. 특히나 이는 생명과 관련하여 매우 직접적인 것이라고 생각한다.
연구가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생명을 헤치면서까지 하면 안 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므로 연구 윤리는 있어야 하는 것이며 그래야만 이러한 것이 지켜...
#사회복지현장연구
#연구윤리
#조사대상자사생활보호
원문링크 : 사회복지 현장연구에서 연구 윤리는 왜 필요한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