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가족의 구성원은 누구일까, 부부를 기준으로 노년층의 부모, 부부 당사자, 부부의 자녀들로 구성될 것이다. 어쩌면 독립하지 않은 형제자매도 존재할지 모른다.
이렇듯 가족의 구성원은 성별과 선택을 떠나 인생의 주기에 다양한 인원들이 속해있을 수 있다. 조부모로서 사회 참여, 혹은 아동 양육을 원할 수도 있고 모든 가족 구성원의 건강 상태에 따라 삶의 환경이 달라질 수 있다.
경제적으로 어려운 환경을 개선하고자 맞벌이를 선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아내의 사회참여, 자녀들의 성장 과정이 달라질 수 있다. 나는 가족정책이 여성 복지, 아동복지 그리고 노인 정책과 다르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저 가족 구성원에게 다다르게 닥친 생애 주기의 차이일 뿐, 같은 사회를 살아가고 있기에 정부의 정책으로 장기적으로 보전할 수 있는 최소한의 안전장치를 구비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바이다. 대표적인 예를 들자면 유자녀 여성들이 자녀 양육과 안정된 생활을 위해 근로자로서 일하고 있는 환경을 생각해 보면 쉽다....
#가족정책
#노인정책
#아동복지
#여성복지
원문링크 : 가족정책과 여성 복지, 아동복지, 노인정책과의 관련성에 대해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