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융은 젊은 시절을 가리켜 육체적인 인간이라고 했다. 이 시기는 모든 관심과 에너지가 외모와 조건에 쏠려 있기 때문이다.
시간이 지나서 찾아오는 중년을 가리켜 융은 정신적 인간으로 변모할 기회라고 말했다. 육체적 인간은 타인과 비교하며, 타인의 시선을 신경 쓴다.
타인에게 인정을 받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가치이다. 이에 반해 정신적 인간은 이 모든 것으로부터 자유를 누릴 수 있는 시기다.
이제 부부관계도 안정을 찾았으며, 자녀는 부모 손길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성장했다. 그래서 타인보다는 자신의 내면의 소리에 귀를 기울이며, 자신이 누구고 어떤 삶을 살아야 할지에 대해 에너지를 쏟는 시기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페르소나와 그림자가 점차적으로 사라지는 시기가 되는 것이다. 또, 아니마는 남성적 자아의 무의식 속에 있는 여성적 특성이다.
반면 여성적 자아의 무의식 안에 있는 남성적 특성을 아니무스라고 부른다. 즉 남성에게서 여성성이 발견되면 아니마, 여성에게서 남...
#아니마
#아니무스
#융의분석심리이론
#중년기의성격원형
#중년기이후의성격발달중요
#페르소나
원문링크 : 융의 분석 심리 이론에서는 중년기 이후의 성격발달을 중요하게 다루고 있는데 중년기의 성격 원형들이 어떠한 변화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지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