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 결과를 해석하면서 주의해야 할 점은 해당 결과가 통계적으로 의미가 있는지 판단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모든 통계가 전수조사할 수 없기에 어쩔 수 없이 표본을 통해 전체 결과를 추정하는 과정에서 통계는 자체적으로 오차를 포함하게 되고 이를 통해 산출된 통계 결과가 과연 전체 모집단의 특성과 얼마나 근접한 지 확인하는 절차는 반드시 행해져야 한다.
이를 통계의 '가설검정'이라 한다. 가설검정은 통계적 추론의 일종이며, 모집단의 실제 특성이 얼마인지의 주장에 대해 표본의 정보를 이용하여 가설의 합당성 여부를 판정하는 과정이다.
하지만 검정 과정을 거쳤음에도 여전히 오류가 존재할 수 있다. 오류는 두 가지 종류로 나뉘는데 이를 '1종 오류'와 '2종 오류'라고 한다.
가설검정의 오류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우선 귀무가설과 대립가설의 개념에 대해 짚고 넘어가야 한다. 귀무가설은 "일반적으로 믿어왔던 사실을 가설로 설정한 것'으로 영가설이라고도 한다.
그러므로 귀무가설에 대한 조사는 의미가 없...
#가설검정
#가설검정의두가지오류
#귀무가설
#대립가설
원문링크 : 가설검정의 두 가지 오류에 대해 설명하고 두 가지 오류 증 어느 것을 더 중요시하여야 할지 토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