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기 때문에 사회 속에서 살아가야 한다. 이는 단순히 타인으로부터 정보를 얻는다거나 필요한 물품을 교환하는 것에 국한되지 않으며, 타인과의 교감을 통해 정서적 안정감을 얻고 공동체의 성장을 도모할 수 있는 것까지 확장할 수 있다.
역사적으로 타인과 단절된 인간은 본능적이고 원초적인 욕망에 이끌려 개인의 이득을 위해서만 행동할 뿐이었기에 개인의 발전뿐만 아니라 문명의 발달도 모두 인간의 사회화 과정에서 파생된 교류에서 시작되었도 해도 과하지 않을 것이다. 인간은 다른 사람과의 의사소통을 통해 정보를 얻고, 정서적 안정을 얻을 뿐만 아니라 성장을 위한 동기를 얻는다.
자신과 같은 분야에서 먼저 일가를 이룬 사람으로부터 성공하기 위한 자세나 마음가짐을 배울 수 있고, 그들을 동경하거나 혹은 질투하며 자기의 성장을 꾀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나는 향상심의 확산이야말로 인간이 사회적 동물이 된 근본 이유라고 생각한다.
스스로 더 성장하길 원하기 때문에 다른 사람들로부터 무언가...
#인간이집단이라는사회를구성해삶을살아가는이유
원문링크 : 인간이 집단이라는 사회를 구성해 삶을 살아가는 이유에 대해 토론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