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뒤르켐의 이론을 통해서 봤을 때 우리나라는 사회적 연대가 약해 높은 자살률이 나타나고 있는 것에 동의한다. 뒤르켐은 기능주의적 관점을 바탕으로 사회적 합의와 사회 체계와 관련한 관심을 가졌다.
이를 통해 개인적 사실로 보이는 자살에 대해서 사회적 사실로 간주하면서 당시 유럽 사회에서 급증하고 있는 자살 경향을 병리적인 것이라고 해석하였다. 그는 자살론을 통해서 자실이 개인적 행위로 보이나 자살을 강제하게 되는 사회적 유형이 존재한다고 하였다.
뒤르켐은 자살이 심리학의 문제가 아닌 사회학의 문제로 보면서 자살률과 사회통합 간 상호 관계가 있다고 하였는데 개인 외부에 있는 사회적 압력으로 자살률에 영향을 주게 된다고 하였다. 자살에는 크게 4가지 유형이 있는데 이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자살률에 연관 지어 봤을 때 이기적 자살로 인해서 자살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할 수 있는데 이는 개인이 사회에 통합되지 못하기 때문에 사회에서 격리되고 지지를 잃게 되면서 고립감, 소외감으로 발생하는...
#뒤르켐
#뒤르켐은지극히개인적인행동사회적연대에의해결정
#애기처럼사회적연대가약해서자살율이높은것
원문링크 : 현재 우리나라 자살률은 전체 oecd 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뒤르켐의 말처럼 사회적 연대가 약해서 우리나라 자살률이 높은 것인지 서술하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