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는 한국 교육의 계층 사다리 역할이 조금은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사고, 특목고 등과 같이 교육계층의 분리가 제도적으로 도입하고 있으며 성적 낙인을 통해 학생을 좌절하도록 하기 때문이다. 물론 수학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만의 공간을 분리해 그 교육의 질을 증진시키고자 한 의도는 분명히 선하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계층의 분리는 학업의 기회가 10대에 마무리되는 것이 아닌데도 불구하고 마치 1대에 모든 학업을 마쳐야 하며 대학에 가면 모든 것이 해결되리라는 환상을 젊은 세대에 심어주고 있다. 따라서 학창 시절 공부를 못하는 사람이라는 낙인을 찍힌 사람은 다시금 교육의 기회에 접근하기 쉽지 않아진다.
둘째, 경제적 격차로 인한 교육 기회의 분리가 일어나고 있다. 학군이 좋은 곳은 경제적으로 부유한 곳인 경우가 흔하며 고소득자는 자녀의 교육을 위해 사교육 등에 돈을 쏟아붓는다.
한국장학재단에 의하면 2017년 서울대 입학생 가운데 고소득자 비율이 70%를 웃...
#교육이계층사다리역할
#우리나라교육은계층사다리역할은어느정도
원문링크 : 우리나라 교육은 계층 사다리 역할을 어느 정도 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