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관 작품 건드렸다가 '1억원 날벼락'...어떡할까 [백세희의 컬처&로(Law)] 미술관 작품 건드렸다가 '1억원 날벼락'...어떡할까 [백세희의 컬처&로(Law)]](https://phinf.pstatic.net/image.nmv/blog_2024_09_23_56/rBQOYTeH6P_01.jpg?type=w2)
미술관 작품 건드렸다가 '1억원 날벼락'...어떡할까 [백세희의 컬처&로(Law)] 3500년 항아리 깬 소년 용서한 박물관 전시회서의 예술품 파손, 관람객 책임은 어디까지 시민들이 특별 전시장의 작품을 감상하고 있다.[사진 연합뉴스] [백세희 디케이엘파트너스 법률사무소 변호사] 최근 “3500년 전 온전한 항아리 깬 4살...
박물관 너그러운 대처 ‘감동’”이라는 헤드라인의 기사를 보았다. 이스라엘 하이파에 있는 헤흐트 박물관에 전시된 청동기 시대 질항아리가 어린이 관람객의 손에 깨졌지만 박물관 측이 너그럽게 용서했다는 내용이다.
깨진 항아리는 거의 손상되지 않고 원형을 유지하고 있던 매우 드문 유물이었다고 한다. 경매 최고가가 또 갱신됐다는 뉴스를 제외하면, 개별 예술품이 언론에 오르내리는 이유는 대개 ‘도난과 파손’이다.
그중 파손에 대한 뉴스는 멀디먼 이스라엘의 질항아리 이야기가 우리나라에 전해질 정도로 많은 이들의 관심을 끌곤 한다. 실수로 예술품을 파손했을 때 미술관이나 ...
원문링크 : 미술관 작품 건드렸다가 '1억원 날벼락'...어떡할까 [백세희의 컬처&로(La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