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병수당 제도(보건복지부) - ①개요 ②기능 ③기준 ④절차


상병수당 제도(보건복지부) - ①개요 ②기능 ③기준 ④절차

상병수당 제도 상병수당 제도(보건복지부) - ①개요 ②기능 ③기준 ④절차 제도 개요 상병수당 정의 근로자가 업무 외 질병·부상으로 인하여 경제활동이 불가한 경우,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소득을 보장하는 제도 국제 동향 OECD 38개국 중 한국, 미국(뉴욕 등 일부州 도입) 제외하고 모두 도입(‘21년), 국제사회보장협회(ISSA) 182개 회원국 중 163개국 도입(‘19년) 법적 근거 「국민건강보험법」 제50조에 부가급여로 상병수당 명시 추진배경 코로나19 확산을 계기로 근로자의 아프면 쉴 권리 보장 및 감염병 확산 방지 차원에서 상병수당에 대한 사회적 요구 증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한 노-사-정 사회적 협약‘ 체결(’20.7.28)을 계기로 상병수당 도입에 대한 사회적 논의 시작 상병수당 제도 기능 아픈 근로자에 대한 소득안전망 강화 질병·부상으로 인한 가계 소득 불안정을 완화하여 ‘질병→빈곤→건강악화’로 이어지는 악순환 차단, 빈곤을 사전에 예방 질병의 조기 발견·치...



원문링크 : 상병수당 제도(보건복지부) - ①개요 ②기능 ③기준 ④절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