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연구자(우물밖의개구리: Mark A. Peterson)가 바라본 특이한 한국의 성씨 비율


해외연구자(우물밖의개구리: Mark A. Peterson)가 바라본 특이한 한국의 성씨 비율

국제화 시대의 한국사 연구, 어떻게 접근할 것인가? 우물 밖 개구리가 보는 한국학 금주에는 한국학을 공부하시었던, 외국 교수님의 시각에서 본 한국의 역사를 이해해 보는 시간을 가지었습니다.

한국 성씨 관계 김 이 박 많은 것 당연한가? 당연하지 않다.

이상한 것이다. 그 이유는 한국 성씨 빙산의 일각처럼, 소수 성씨는 많지만, 소수이고, 김 이 박이 차지하는 양이 매우 많다.

이러한 이야기를 유튜브로 시작하게 된 이유는 책보다 유튜브가 정보 전달에 적합해지는 사회가 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한국사회의 역사사관이 식민사관에 반하는 형태가 주류이기에, 이를 외국인의 시각에서 객관적인 새로운 시각을 이야기하고 싶었다고 이야기 하시었다.

Why is many Kim’s? (왜 김씨가 많은가?)

소수의 성씨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상황은 매우 특이한 현상이다. 타 국가들도 그렇다고 이야기 하는 사람들이 있지만, 이는 그렇지 않다.

하나의 성 씨에 사람들이 꽤 많은 편이다. 일본은 약 30만개의 ...


#MarkPeterson #한국성씨비율 #한국성씨 #한국사회 #한국사 #한국 #우물밖의개구리 #우리역사 #역사 #한국학

원문링크 : 해외연구자(우물밖의개구리: Mark A. Peterson)가 바라본 특이한 한국의 성씨 비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