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식 나이 폐지 - 만나이 도입시기 및 계산방법


한국식 나이 폐지 - 만나이 도입시기 및 계산방법

우리나라에는 3가지 나이 계산 방법이 있습니다. 한국식 세는 나이와 만나이, 연나이 총 3가지 방법인데요, 어떤 방식으로 나이를 계산하는지에 따라 나이가 달라지기 때문에 혼란이 많았습니다.

출처 KTV 첫번째로 태어난 해에 한살을 먹고 다음해 첫날부터 한살씩 더하는 한국식 세는 나이가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쓰이고 있습니다. 두번째로 태어난 출생 연도를 기준으로 계산하는 연 나이와 마지막으로 양력 출생일을 기준으로 하는 만 나이가 있습니다.

의료나 복지와 관련된 법의 경우 만 나이를 적용하고, 청소년 보호법이나 병역법 등 일부 법률에선 연나이를 기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법률에서도 나이 기준이 달라 국민들의 혼동이 많았는데요, 여기에 나이를 기준으로 적용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우리나라에만 존재하는 1월과 2월에 태어난 사람들을 일컫는 빠른년생 제도로 나이를 소개하기 더욱 힘들어졌습니다. 2009년 초중등교육법 개정으로 입학 기준이 1~12월로 바뀌었으나, 2002년생까지는 1~2월에 ...


#만나이 #한국식나이 #만나이폐지 #만나이통일 #만나이적용 #만나이시행 #만나이도입시기 #만나이도입 #만나이계산방법 #만나이계산 #한국식세는나이폐지

원문링크 : 한국식 나이 폐지 - 만나이 도입시기 및 계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