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블록딜 뜻 - 블록딜은 악재일까 호재일까?


주식 블록딜 뜻 - 블록딜은 악재일까 호재일까?

경제 뉴스를 보다보면 블록딜에 관한 기사를 심상찮게 볼 수 있습니다. 블록딜 추진에 기존 주주들이 반발한다던지, 블록딜이 성사되어 주가가 급락했다는 뉴스들입니다.

블록딜은 과연 어떤 것이고, 정말 주가하락을 가져오는지 알아보겠습니다. 블록딜(Block Deal) 시간 외 대량매매로, 보유 지분을 쪼개서 파는 것이 아니라 블록(block)처럼 덩어리째 넘기는 것 블록딜은 주식을 대량으로 보유한 자가 사전에 매도 물량을 인수할 매수자와 합의하여, 주식거래장이 끝난 후에 주식을 넘기는 거래를 의미합니다.

이는 대규모 주식 거래는 장중에 실시하기가 어렵고, 자칫하다가는 장중 주가 급락을 가져오기 때문에 제 값에 매도하는 것도 어렵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특정 기업의 지분 3%를 거래하는 경우, 이를 장중에 시장가로 매도해버린다면 주가가 급락하게 될 것입니다.

비슷한 사례로 매도 주문 실수로 일시간에 매도 물량이 나왔고 주가가 급락한 적이 꽤 있습니다. 단순 주문실수로도 급락하는데 블록딜...


#blockdeal #블록딜 #블록딜뜻 #블록딜악재 #블록딜호재

원문링크 : 주식 블록딜 뜻 - 블록딜은 악재일까 호재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