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수령나이 및 기납부액 조회 모바일로 쉽게 알아보기!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수령나이 및 기납부액 조회 모바일로 쉽게 알아보기!

직장인이라면 매월 급여일에 국민연금이란 항목으로 엄청난 금액이 공제되는 걸 알고 계실 겁니다. 저도 월급날마다 뭔 국민연금을 이리 많이 빼가냐...어차피 나중에 국민연금 고갈되서 못받는 거 아니냐!

라고 생각만 하고 있었는데요, 국민연금으로 월급의 얼마를 떼어가는지 나중엔 언제 얼마나 받을 수 있는지, 지금까지 얼마를 납부했는지에 대해서 간략히 알아보겠습니다. 월급에서 보험료로 얼마를 떼가지?

연금보험료 : 가입자의 기준소득월액 X 연금보험료율 기존소득월액 기존소득월액은 가입자가 그 해에 얻은 모든 소득총액을 근무일수로 나눈 뒤 다시 30배를 곱한 금액입니다. 쉽게 말씀드려서 월급 기준이 아니라 월급과 상여, 보너스 등을 다 합친 연봉을 근무일수로 나눈 뒤 30일은 곱한 금액이 기준이 됩니다.

다만 기존소득월액은 최저 32만원에서 최고 503만원의 범위내에서 결정됩니다. 즉 월소득이 32만원보다 적으면 32만원이, 503만원보다 많으면 503만원이 기준소득월액이 됩니다.

연금보험료율...


#국민연금 #국민연금납입금액 #국민연금보험료 #국민연금수령나이 #국민연금예상수령액 #국민연금월급 #국민연금확인

원문링크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수령나이 및 기납부액 조회 모바일로 쉽게 알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