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선별검사_ 인지장애가 의심될 때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_ 평가지 및 평가 방법


치매 선별검사_ 인지장애가 의심될 때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_ 평가지 및 평가 방법

K-MMSE 첨부파일 K-MMSE.pdf 파일 다운로드 K-MMSE 여러 질환을 이유로 인지 장애가 발생하고 이런 경우 의료기관에서는 인지 평가를 진행하고 그 기준에 맞게 인지장애 진단을 내리게 됩니다. 인지와 관련된 여러 심층 평가 도구들이 있지만 이 모든 평가 전 선행되는 스크리닝 평가가 바로 K-MMSE 입니다.

K-MMSE 란,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로 일반적으로 치매를 선별해 내는 검사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검사를 통해 인지 장애의 수준을 평가할 수 있으며 follow-up 평가로 환자의 인지 수준이 얼마나 개선(혹은 저하) 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렇지만 스크리닝 검사인 이 K-MMSE로는 치매의 유형을 구분해 내거나 확진 판정을 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경도의 인지 장애인 경우 민감도가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인지 치료를 진행해야 하는 환자의 경에는 본 스크리닝 평가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보통 더 심층적인 추가 인지 검사를 진행하게 됩니다...


#KMMSE #치매평가 #치매선별검사 #치매검사 #작업치료평가도구 #작업치료 #인지평가 #인지스크리닝평가 #인지검사 #스크리닝평가 #간이정신상태검사 #MMSE #한국형간이정신상태검사

원문링크 : 치매 선별검사_ 인지장애가 의심될 때는? 한국형 간이정신상태검사K-MMSE _ 평가지 및 평가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