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직? 강직? 헷갈리는 용어 정리 _ Spasticity vs Rigidity _ types of muscle tone


경직? 강직? 헷갈리는 용어 정리 _  Spasticity vs Rigidity _ types of muscle tone

Spasticity VS Rigidity 임상이로서 반드시 알아야 할 용어지만 자꾸만 헷갈리는 이것! 바로 경직과 강직입니다.

영어로는 spasticity 와 rigidity 가 되는데요. 발생 원인과 움직임 양상 등 서로 많이 다르지만 비정상적으로 근육의 긴장도가 과 긴장 된다는 점에서 공통점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경직(spasticity) 과 강직(rigidity)의 차이점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이점 Spasticity (경직) 상위 운동신경 (Upper Motor Neuron), 피라밋로와 주변 신경의 손상으로 발생 뇌졸중(Stoke), 척수손상(SCI), 뇌성마비(CP), 외상성 뇌 손상(TBI)에서 나타남 비정상적인 muscle tone의 증가 혹은 stiffness 발생 수동적 움직임 시 속도에 영향을 받음.

경직이 있는 관절을 빠른 속도로 수동운동 시키면 강한 저항이 나타나고 느린 속도로 제공하면 저항은 줄어듦. 주동근과 대항근 중 한쪽에서만...


#claspknife #톱니바퀴현상 #접칼현상 #뇌졸중 #근긴장이상 #근긴장도 #근긴장 #경직 #강직경직 #강직 #spasticity #rigidity #normaltone #muscletone #hypotonia #DTR #cogwheel #파킨슨

원문링크 : 경직? 강직? 헷갈리는 용어 정리 _ Spasticity vs Rigidity _ types of muscle to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