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더원이엔씨 노무법인 대표 이덕조노무사입니다.
여러분들 주휴수당이라는 개념에 대해 아시나요? 주휴수당이란 아주 이전부터 있었지만, 근로의 형태가 다원화되고 24시간 점포의 확장 등으로 시간제 근로자 등이 많아짐으로써 점점 화제가 되고 논쟁거리의 중심에 있는 수당입니다.
오늘은 다양한 사례를 통해서 주휴수당의 계산방법과 발생 유무에 대해 알아봄으로써 평소에 혼동이 많이 되었던 주휴수당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고자 합니다. 주휴수당이란 무엇인가요?
주휴수당이란 1주 *소정근로 개근 시 유급으로 지급하는 수당을 말합니다. 다만, 4주 평균하여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미만인 근로자(일명 초단시간 근로자)에 대하여는 법적으로 주휴수당이 발생하지 않습니다.
*소정근로시간이란? 법정근로시간 내에서 노사간 합의된 근로를 하는 경우 이를 소정근로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소정된 근로시간이 아닌 근로시간에 소정근로를 하거나 소정된 근로시간 내에서도 합의된 근로가 아닌 다른 근로를 한 경우는...
#더원이엔씨노무법인
#사례별주휴수당
#사용자귀책사유휴업
#소정근로시간
#주휴수당계산방법
#주휴수당발생유무
#지각조퇴시
원문링크 : 사례별로 알아보는 주휴수당의 발생 여부와 계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