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감자 ‘노인연령 상향’] 젊은 노인 딜레마에 빠진 한국


[뜨거운 감자 ‘노인연령 상향’] 젊은 노인 딜레마에 빠진 한국

-신체·정신적 나이 상승 영향…노인 65→70세 상향 논의 -고령화 속 빈곤율 문제 심각…취약계층 '복지공백' 우려 지난달 28일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화성행궁 광장에서 열린 '노인일자리 채용한마당'을 찾은 어르신이 채용정보 게시판을 살펴보고 있다.뉴시스 일흔을 앞둔 이병덕(69·가명)씨는 시흥시 시화공업단지 내 섬유기계 중소기업에서 일한 지 40년 가까이 됐다. 이씨는 정년퇴직으로 회사를 나온 지 15년이 지났지만 매년 1년씩 계약직으로 고용을 연장해 근무 중이다.

이씨가 퇴직할 당시엔 정년 연령이 55세였기 때문이다. 이씨가 일하는 회사엔 이같은 고령 근무자들이 여럿이다.

회사에서도 고령자를 고용하지 않으면 돌아가지 않는다. 청년층은 낮은 연봉에 금방 나가기 일쑤다.

결국 이씨의 회사엔 평균 연령 65세 이상인 고령자와 외국인 노동자만으로 돌아간다. 이씨는 “노인연령이 올라간다면 근무할 의지가 있는 고령자가 안정적으로 일하고 사회에도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과거와 달리 고령...



원문링크 : [뜨거운 감자 ‘노인연령 상향’] 젊은 노인 딜레마에 빠진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