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고재학의 경제이슈 분석] 연금 빨리타기 열풍, “건강할 때 타서 쓰자” 연금에도 욜로? 작년 신규 수급자 2명 중 1명 조기수령…11만2,000명 사상 최대 수급개시 연령 지난해 만62세에서 63세로 한 살 늦춰진 영향도 연금 언제 받는 게 유리?...
수명∙건강상태∙소득에 따라 유불리 달라져 ‘국민연금 무조건 빨리 타는 게 이득일까?’ 연금 빨리 타기 열풍이 불고 있다.
정상수령 나이보다 최대 5년 앞당겨 받는 조기연금 수급자가 100만명에 육박한다. 조기연금을 신청하는 사람들의 사연은 다양하다.
“손해 보는 거 알지만 당장 먹고 살 게 없어 신청했다.” “건강할 때 하루라도 빨리 연금 타는 게 맘 편하다.”
“자녀 없는 독거노인은 조기연금이 답이다.” “건강보험 피부양자 자격 유지하려면 일찍 받아야 유리하다.”
과연 ‘조기연금이 정답’인지 자세히 살펴보자. 1. 국민연금의 종류: 조기연금∙연기연금∙정상연금 국민연금은 원칙적으로 65세(1969년생 이후, 그 이전은 60~64세)부...
원문링크 : 국민연금 조기수령자 100만 시대…조기수령이 정답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