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문가들 "사각지대 해소하는 '통합 지원' 필요" 한목소리 학대 피해를 입는 장애아동이 피해자 지원체계에서 소외돼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전문가들은 제도적 공백으로 인한 추가 피해를 막기 위해 장애인 보호체계와 아동 보호체계 모두에 장애아동의 권리를 명시하고 협력적 지원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장애아동인권네트워크, 세이브더칠드런 등은 29일 서울 영등포 국회의원회관에서 '협력적 학대피해 장애아동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국회토론회'를 열고 소수자성이 교차하고 중첩돼 지원을 받기 어려운 장애 아동의 현실을 살폈다. 아동학대의 심각성이 나날이 대두되고 있음에도 장애아동을 향한 학대는 매해 증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가 발간한 장애인학대 현황보고서를 보면, 장애아동 학대피해 건수는 2020년 133건, 2021년 166건, 2022년 249건이다. 이는 전체 아동학대 건수의 0.4%로 비교적 낮은 수치로 보일 수 있다.
그러나 2022년 세이브더칠드런과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진행한...
원문링크 : 늘어나는 '학대' 장애아동들, 기관 '핑퐁'에 피해 구제 못 받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