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엄마·아빠 보고 싶다, 미안하다"…고립의 끝에 남겨진 흔적들[청년고립24시]


"엄마·아빠 보고 싶다, 미안하다"…고립의 끝에 남겨진 흔적들[청년고립24시]

<3>곁에서 바라본 고립·은둔 청년들 ②현직 경찰-특수업체 관계자들이 전한 고독사 현장 낙서, 일기 등에 남겨진 청년들의 목소리 퇴근 후 혼자 끼니를 때울 때, 휴대폰에 저장된 연락처는 수백개지만 힘든 일이 있어도 마음을 털어놓을 상대가 없을 때, 아프거나 돈이 없는데 도움을 요청할 수 없을 때... 아시아경제가 만난 20·30대 청년들은 이럴 때 고립감을 느꼈다고 털어놨습니다.

혹시 당신의 이야기는 아닌가요? '히키코모리', '은둔형 외톨이'와 같은 단어가 나와는 다른 세상의 이야기라고 생각해왔다면 이제는 고립·은둔을 다시 제대로 바라볼 때입니다.

"젊은 총각이 2년 전부터 살았는데 최근 월세도 안 주고 전화도 안 받고 그래서 올라와 보니..." "참 착한 아들이었습니다.

한 번도 힘들다고 투정하지 않았는데..." 책 '고독사는 사회적 타살이다'에서 저자 권종호 경감은 29세 청년의 고독사에 집주인과 가족은 이렇게 고인을 기억했다고 적었다.

고독사 현장이 발생하면 경찰은 사체를 정...



원문링크 : "엄마·아빠 보고 싶다, 미안하다"…고립의 끝에 남겨진 흔적들[청년고립24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