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앵커> 보유주택이 1천 채를 넘어서 속칭 '빌라왕'으로 불린 임대업자가 갑자기 숨지면서 세입자들의 피해가 속출하고 있습니다. 수백 명이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고 있는데, 보증보험에 가입한 사람들 또한 보상을 못 받고 있습니다.송욱 기자입니다.
<기자> 보유 주택이 무려 1천100여 채에 달해 빌라왕으로 불렸던 임대업자 40대 김 모 씨가 지난 10월 서울의 한 호텔에서 숨졌습니다. 김 씨는 지난 2020년부터 올해까지 수도권 빌라와 오피스텔을 전세를 낀 '갭투자' 방식으로 사들였습니다.
문제는 김 씨가 숨지기 전부터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들이 속출했다는 겁니다. 상당수의 세입자는 자신이 살던 집이 경매를 통해 새 주인을 찾는 것 말고는 보증금을 돌려받을 방법이 없는 상황입니다.
주택도시보증공사의 전세금반환보증보험에 가입한 세입자들도 발을 동동 구르고 있습니다. 통상 보증보험에 가입한 세입자가 보증금 반환을 거부하는 집주인에게 임대차 계약 해지를 통보하면, 공사가 대신...
#빌라왕
#전세보증보험
원문링크 : 1천 채 빌라왕' 사망에 세입자 어쩌나…보험도 어려운 이유 / SB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