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멕시코 가전, 캐나다 배터리…'USMCA 혜택' 북미 수출 거점으로 활용 한국 제품 가격 경쟁력 약화 가능성…美생산 강화 등 검토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EPA=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김아람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한국 기업들이 생산 거점을 확대해온 캐나다와 멕시코에 관세 부과를 강행하면서 관련 업계가 대응 방안을 고심하고 있다. 1일(현지시간) 트럼프 대통령은 캐나다와 멕시코에 25%, 중국에 추가로 10%의 보편적 관세를 각각 부과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생산시설 조절 등 고려 가능" 멕시코는 인건비가 저렴하고 미국-멕시코-캐나다 자유무역협정(USMCA) 혜택을 받을 수 있어 북미 수출에 최적의 입지로 꼽혔다.
하지만 미국의 25% 고율 관세가 현실화하면서 멕시코를 주요 생산 기지로 활용해온 국내 기업들도 전략 수정이 필요해졌다. 현재 멕시코에서는 삼성전자와 LG전자가 가전과 TV 등의 공장을, 기아가 자동차 공장을 운영한다.
현대모비스와 현대트랜시스도 ...
#미중무역전쟁
#주식투자
#트럼프관련주
#트럼프관세정책
#트럼프자국우선주의
원문링크 : 韓가전·배터리 생산기지 캐나다·멕시코에 고관세…전략 수정 불가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