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달 18일 미국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회의에서 50bp(1bp=0.01%포인트) 기준금리 인하를 결정했다. 4년 반 만에 다시금 금리 인하가 시작된 상황이다. 2020년부터 시작된 초저금리 시대의 시작은 글로벌 수소 경제에 대한 기대감을 폭발시키며 글로벌 수소주의 주가 상승을 견인했다. 2020년과는 달리 지금의 금리 인하는 오히려 산업의 펀더멘털에 보다 긍정적인 변화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대규모 인프라 구축에 있어서 금리는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이다.
주가 상승을 위한 단단한 기틀이 마련되고 있음을 보여준다. 글로벌 수소 경제에 있어서 2020년과 2024년이 다른 점은 산업 육성을 위한 방향성이 구체화(청정 수소 생산, 저장 및 운송 등 업스트림 인프라 구축 지원)됐다는 점, 이를 위한 정책이 마련돼 공적자금 투입이 시작됐다는 점이다.
미국, 중국 등 주요 국가들은 조 단위 공적자금 투입을 앞두거나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민간 자본 유입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미국의 인플...
#그린수소
#퓨얼셀에너지
#탄소중립
#신재생에너지
#수전해
#수소연료전지
#수소모빌리티
#수소경제
#발라드파워시스템즈
#플러그파워
원문링크 : 신에너지 수소와 금리 인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