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ssMark로 보는 컴퓨터 성능 벤치마크


PassMark로 보는 컴퓨터 성능 벤치마크

벤치마크 BenchMark 벤치마크는 사전 번역으론 '기준점'이다. 원래 영미권에서 토지 측량시 참고용으로 땅에 박는 돌을 의미하는 단어였으나, 요즘은 다른 우수 사례를 배우고 참고(모방)하는 활동도 '벤치마킹'이라고 부르고, 전자기기의 성능을 비교, 평가하는 활동도 '벤치마크'라고 부르는 등, 의미가 확장되었다.

뭐, 아무튼 전자 기기의 성능을 테스트해서 점수화 하는 것을 벤치마크 점수라고 하는데, 어떻게 보면 '구매의 기준' 중 하나가 될 수 있기도 하여 IT 리뷰어들이 여러모로 테스트를 해서 결과를 알려주기도 한다. 이 벤치 툴은 대표적으로 3D Mark, GeekBench, CineBench, PassMark, CPU-Z 등이 있고, 용도에 따라 실제 사용할 프로그램을 돌려서 점수화 하기도 하는데, 예를 들어 7-Zip 등의 압축 프로그램으로 대용량 파일을 압축하여 시간 측정, Blender등의 프로그램으로 렌더링을 돌려 시간 측정하기 등, 다양한 방법으로 벤치 점수를 측정 ...


#MX500 #벤치마크

원문링크 : PassMark로 보는 컴퓨터 성능 벤치마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