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인이 직접 사용한다고 하면서 권리금 회수를 방해할 때?


임대인이 직접 사용한다고 하면서 권리금 회수를 방해할 때?

Q. 안산역에서 4년째 커피숍을 운영 중입니다.

얼마 전 임대인이 임대차계약이 만료되면 아들이 영업할 예정으로 재계약을 해줄 수가 없으니 무조건 나가달라고 합니다. 기존에 권리금을 주고 들어왔고, 인테리어 비용과 영업비용 등을 많이 투자한 상태입니다.

권리금을 회수할 방법이 없나요? A.

임차인은 임대차 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임대차 종료시까지 신규 임차인을 주선하여 임대인에게 신규 임대차계약 체결할 것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임대인은 본인 등이 직접 사용한다는 등 정당한 사유 없이 임차인의 신규 임대차계약 체결 요구를 거절할 수 없습니다.

만약 임대인의 정당하지 못한 사유로 임차인이 권리금 회수에 손해가 발생 한다면, 임대인은 임차인의 손해를 책임져야 합니다. 그러므로 임차인은 신규 임차인을 주선하여 권리금을 회수할 수 있고, 임대인이 정당한 사유 없이 그것을 방해한다면 임차인은 임대인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권리금회수 #신규임차인주선 #권리금보호 #재계약거부 #임차인보호 #임대차계약종료 #임대인의책임 #인테리어비용 #영업보상 #안산역커피숍 #손해배상청구 #상가임대차분쟁 #상가임대차보호법 #상가권리금 #직접사용사유

원문링크 : 임대인이 직접 사용한다고 하면서 권리금 회수를 방해할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