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자원동원 이론 1) 사회운동은 이익집단들이 이익이나 권력을 극대화하기 위해 자신들이 가진 여러 자원들을 동원하는 합리적 행위 2) 외부지원의 중요성(정치적 기회)과 제도화된 자원의 확보를 강조 3) 장점 (1) 사회운동 분석의 초점을 개인 차원에서 조직 차원으로 전환함 (2) 사회운동에서 외부집단의 영향력을 분석하는데 도움을 줌 4) 비판 (1) 사회운동의 목표, 이데올로기, 참여자의 동기 등에 둔감하여 사회운동을 지나치게 정상적인 현상으로 이해하고 있음 (2) 엘리트들로부터의 협조를 당연시하는 엘리트주의를 기본으로 하고 있음 2.
신사회운동 이론 1) 사회구조적 변화에 따른 사회운동의 변화과정으로 발생(복지국가) 2) 현대 사회의 구조적 성격을 성찰하고, 정체성과 가치지향이 사회운동에서 지니는 중요성을 재발견하는데 기여함 3) 지나치게 사회구조적 원인에 집중하면서 동원의 과정을 소홀히 다루었다는 비판...
원문링크 : 집합행동과 사회운동의 이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