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구조주의(레비스트로스) 1) 문화적 현상은 인간의 심층심리에 깔려 있는 구조가 겉으로 나타나는 것 2) 인간의 의식구조는 2분법적이며, 이 양자 간에 호혜성에 입각한 교환이 항상 일어난다고 주장함 3) 의의 경험을 통해 파악할 수 있는 영역뿐만 아니라 심층 의식수준까지 인류학의 관심을 확대함 4) 비판 (1) 민족지적 자료의 특수성과 사회적 맥락을 무시함 (2) 문화의 다양성과 변동성을 외면함 2.
신진화주의 1) 문화진화의 에너지이론(화이트) (1) 문화는 사용하는 에너지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서 그 에너지를 작동시킬 도구적인 효율성이 증가됨에 따라서 진화함 (2) 문화결정론 문화의 성장과 발전은 문화 자체의 본성이고 문화의 독자적인 과정으로, 인간에 의해서 문화가 발전하는 것이 아니라고 봄 2) 다선진화, 문화생태학(스튜어드) (1) 진화론은 단선진화, 화이트의 이론은 보편진화, 자신의 진화론을 다선진화론으로 파악함 (2) 화이트의 이론은 극히 일반화만을 도출하고 있으며, 환...
원문링크 : 문화인류학 이론(구조주의. 신진화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