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화수호 운동


민족문화수호 운동

1. 한국사연구 1) 일제의 한국사 왜곡 (1) 조선사 편수회 조직(1925) - 일제가 한국사를 왜곡하기 위해 조선총독부에 둔 역사연구기관 - 식민 사학의 논리에 맞게 '조선사' 편찬 2) 민족주의사학 (1) 박은식 - 한국통사를 저술, 일제의 침략과정을 서술함(나라가 형체라면 역사는 정신이라고 강조함) - 한국독립운동지혈사 저술, 독립투쟁 과정을 서술함 - 대한민국 임시정부 2대 대통령으로 활동함 (2) 신채호 - 조선상고사 저술, 역사를 '아와 비아의 투쟁' 으로 정의함 - 의열단 활동 지침인 조선혁명 선언을 지필함 (3) 조선학운동 - 정인보, 안재홍, 문일평 등이 조선학운동을 전개함 - 여유당전서를 간행함 3) 사회경제사학 (1) 백남운이 조선사회경제사, 조선봉건사회경제사 저술 (2) 유물사관을 토대로 식민 사학의 정체성론을 반박함 (3)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 법칙에 입각하여 발전하였음을 강조함 4) 실증주의사학 (1) 이병도, 손진태가 진단학회를 창립하고 진단학...



원문링크 : 민족문화수호 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