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의병항쟁 1) 을미의병(1895) (1) 을미사변과 단발령 실시를 계기로 일어남 (2) 유인석, 이소응 등 유생들이 주도함 (3) 고종의 해산권고조칙에 따라 자진하여 해산함 2) 을사의병(1905) (1) 을사늑약(외교권 박탈 조약)을 계기로 일어남 (2) 유생 의병장(최익현, 민종식 등)이 주도함 (3) 평민 의병장(신돌석 등)도 참여함 (4) 쓰시마섬에서 의병장 최익현 순국 3) 정미의병(1907) (1) 고종 황제의 강제 퇴위와 군대 해산 조치를 계기로 일어남 (2) 해산 군인들이 합류하어 조직과 군사력이 강화됨 (3) 13도 연합 의병 부대 결성 (4) 각국 영사관에 의병을 국제법상 교전 단체로 인정할 것을 요구함 (5) 서울진공 작전을 전개함 4) 일제의 남한 대토벌 작전(1909) 일본의 대대적인 의병 토벌이 시작되어 의병은 간도·연해주 등으로 이주하여 독립운동을 지속함 2.
애국계몽 운동 1) 주요단체 (1) 보안회(1904)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반대 운동 추진(...
원문링크 : 의병항쟁과 애국 계몽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