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


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

1. 신분제의 동요 1) 양반층의 분화 (1) 붕당 정치의 변질(일당 정치, 환국 정치)로 다수 양반의 몰락 (2) 권반, 잔반, 향반으로 양반층 분화 (3) 권반 = 권세 있는 양반 (4) 잔반 = 경제적으로 몰락하여 농민과 다를 것이 없는 양반 (5) 향반 = 시골에 거주하면서 여러 대 동안 벼슬을 못하던 양반 2) 중간 계층의 신분상승 운동 (1) 서얼 - 성리학적 명분론에 의해 차별 받음 - 통청운동(신분차별 폐지하여 고위직 승진 허용)전개 - 정조 때 이덕무, 유득공, 박제가 등이 규장각 검서관에 임명됨 (2) 중인 - 철종 때 소청운동(상소 올림)전개 - 관직 진출 제한 철폐 요구(청요직 진출 요구) - 조선 후기 시사(시인들이 조직한 단체)를 조직해 위항문학 활동을 전개함 (유재건, 이항견문록 지음) 3) 상민의 신분 사승 (1) 농업과 상공업의 발전에 따른 부농층(부유한 농민) 등장 (2) 납속책과 공명첩을 통한 신분 상승 4) 노비의 신분 상승 (1) 노비의 감소 -...



원문링크 : 조선 후기의 사회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