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의 사상과 학문


고려의 사상과 학문

1. 유학의 발달 1) 초기 (1) 태조 = 6두품 계열 유학자 등용 (2) 광종 = 과거제도 실시 (3) 성종 = 유교 정치사상 정립(최승로의 시무 28조), 유학교육기관 정비(국자감, 향교) 2) 중기 최충 = 9재학당 건립(사립학교) 3) 후기 (1) 성리학의 전래 = 충렬왕 때 안향이 소개 (2) 이제현 =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와 교류, 역옹패설 저술 2.

교육기관 1) 관학 (1) 국자감 = 국자학, 태학, 사문학으로 나누어 교육 (2) 지방에는 향교 설치 2) 사학 (1) 사학 12도 융성 (2) 최충의 9재학당 3) 관학 진흥책 (1) 예종 - 국자감에 전문강좌로 7재 설치 - 장학재단인 양현고 설립 - 청연각과 보문각 설치 (2) 인종 = 경사 6학을 중심으로 교육제도를 정비하였음 3. 역사서 편찬 1) 삼국사기(김부식) (1)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역사서 (2)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으로 편찬 (3) 기전체 형식으로 서술 (4) 신라 계승의식 반영 (5) 왕명으로 ...



원문링크 : 고려의 사상과 학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