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시대 문벌귀족 사회와 무신정권


고려시대 문벌귀족 사회와 무신정권

1. 문벌귀족 사회의 성립 1) 음서와 공음전을 통해 특권을 세습하여 권력을 독점 2) 여러 세대에 걸쳐 고위관료 배출, 폐쇄적인 혼인을 바탕으로 가문의 지위 세습 2.

이자겸의 난(1126) 1) 이자겸이 왕실의 외척이 되어 권력을 독점(금나라의 사대 요구를 수용하자고 주장) 2) 인종의 이자겸 제거 시도에 이자겸이 척준경과 함께 난을 일으킴 3) 인종의 이자겸 제거 3.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1135) 1) 서경파 (1) 묘청 등 지방출신의 개혁적 관리 (2) 풍수지리설, 북진정책, 고구려 계승의식 표방 (3) 서경천도, 금나라 정벌, 칭제건원 주장 2) 개경파 (1) 김부식 등 중앙의 문벌귀족 (2) 유교사상, 사대정책, 신라 계승의식 표방 (3) 서경천도 반대 3) 서경천도가 좌절되자 묘청이 서경에서 난을 일으켰으나 김부식에 의해 제압 4.

무신정권의 성립과정 1) 문벌귀족의 사회모순, 무신에 대한 차별대우 등으로 불만 폭증 2) 보현원에서 무신정변 발생(1170) 3) 정...



원문링크 : 고려시대 문벌귀족 사회와 무신정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