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고려의 통치체제 정비 1) 성종 때 마련한 2성 6부제를 기본토대로 함 2) 당나라와 송나라의 제도를 받아들이면서 고려의 실정에 맞게 조정 2.
중앙정치조직 1) 중서문하성(수장은 문화시중) (1) 고려의 최고 관서 (2) 재신 = 2품 이상의 관원으로 국가 정책 심의 (3) 낭사 = 3품 이하의 관원으로 정책을 건의하고 잘못 비판 2) 상서성 중서문하성에서 결정된 사항을 집행하고 6부 통솔 3) 중추원 (1) 추밀 = 군사기밀 담당(2품 이상) (2) 승선 = 왕명을 출납(3품 이하) 4) 삼사 화폐와 곡식의 출납 회계 담당 5) 어사대 (1) 관리들의 비리 감찰 (2) 중서문하성의 낭사와 함께 어사대의 관원들이 대간으로 불림 6) 대간 (1) 어사대의 관원과 중서문하성의 낭사로 구성 (2) 서경권 행사 = 관리임명에 대한 동의 (3) 간쟁권 행사 = 왕의 잘못을 비판하여 시정을 건의 (4) 봉박권 행사 = 왕의 잘못된 명령을 시행하지 않고 돌려 보냄 7) 도병마사 (1) 국...
원문링크 : 통치 체제의 정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