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학문의 발달 1) 통일 신라 (1) 교육 - 국학설립(신문왕) = 박사와 조교를 두고 유교경전 교육(경덕왕 때 태학감으로 명칭 변경) - 독서삼품과 실시(원성왕) = 유교경전의 이해 수준에 대한 시험을 치뤄 인재등용 (2) 역사서, 유학 - 김대문 = 진골출신으로 화랑세기 저술 - 강수 = 외교문서작성에 능하여 청방인문표를 집필 - 설총 = 6두품 출신으로 이두 체계정리, 화왕계를 지어 왕에게 조언 - 최치원 = 6두품 출신으로 토황소격문 지음, 시무 10여조 건의 2) 발해 주자감을 설치하여 유교경전 교육 2.
불교사상의 발달 1) 원효 - 대승기신론소, 십문화쟁론(종파간 사상적 대립 해소를 위하여) 저술 - 일심사상, 화쟁사상 주장하여 종파를 통합하고자 함 - 아미타신앙, 무애가 등을 통하여 불교의 대중화에 힘씀 2) 의상 - 화엄사상을 바탕으로 교단형성 -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어 화엄사상을 정리 - 관음신앙 강조(현세의 고난에서 구제받고자) 3) 혜초 왕오천축국전 = 인도와...
원문링크 : 남북국의 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