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진인가? 공진이 아닌가?
- 공진의 여부를 규명해야 하는 사례에 관하여-10 기계를 외부에서 수리를 완료하고 축정렬을 마치고 현장에 조립을 완료하였습니다. 그런데 진동이 오히려 과거보다 더 높아져서 가동이 중단되었습니다.
공장검수 중, 단독테스트(솔로테스트)에서는 전혀 진동이 문제가 없었거든요. 그래서 말이 많습니다.
제일 먼저 이슈된 것은 ‘공진인 것 같다’ 와 ‘공진은 아니다’라는 것이죠. 특히, 구매자와 판매자 간의 문제 원인여부의 증명은 아주 중요합니다.
그러면 과연 공진의 여부를 그렇게 쉽게 가려낼 수 있을까요? 문제점과 특이점 - 모터 외부 수리 후 오히려 진동이 증가 - 20년 가까이 사용된 나란히 설치된 3개의 고압모터 - 반드시 공진여부의 규명이 필요한 현장, 진실의 규명. - 공진분석을 수행하는 다양한 방법, 관련실적 - 모터진동, 공진, 가변속진동, 섬유기계진동, 압연기진동, 건물진동, 플랜트진동, 건물안전평가, 기계진동원인, 유체기인진동, 쿨링팬진동, 맥동과 관...
#가변속진동
#모터진동
#섬유기계진동
#압연기진동
#유체기인진동
#진동
#진동분석
#충격진동
#쿨링팬진동
#파이프진동
#맥동과
#대형크레인진동
#건물안전평가
#건물진동
#공조팬의
#공진
#관련된
#구조물의
#기계진동원인
#기어진동
#대형구조물의
#플랜트진동
원문링크 : 사례-공진인가? 공진이 아닌가?- 공진의 여부를 규명해야 하는 사례에 관하여-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