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서발의원리, 가역법칙, 상사법칙, 역자승법칙 파서발의 원리(Parseval’s Theorem) “시간영역(Time domain)에서의 총파워(Total Power)와 주파수 영역(Frequency domain)에서의 총파워는 같다” 는 원리로서 다음과 같은 식으로 나타내어 질 수 있다. 여기서 g(t)는 시간의 함수, G(f)는 g(t)의 푸리에 변환을 말한다.
가끔 시간파형의 피크치와 주파수파형의 피크치가 같지 않다고 질문하는 분들에게는 좋은 답이 될 수 있다(그래프의 적분면적이 같다. 가역법칙 (상반정) “어떤 음장에서도 음원의 세기(Sound Intensity)가 일정하다면 음원과 수음점의 위치를 바꿔도 수음점의 세기는 변하지 않는다.”
이 것을 가역법칙 또는 ‘상반정’이라 하고 물리학 전반에 관계하는 중요한 원리이다. 이 것은 마이크로폰의 상호교정법의 원리이며, 투과손실의 측정에 이용되기도 한다.
상사법칙 (모형축적) 모형실험을 수행하는 경우에 모든 물리량의 비를 같게 해야...
#mide
#진동측정
#진동블랙박스
#진동분석
#진동교육
#역자승법칙
#소음측정
#소음진동원리
#소음의이론
#소음법칙
#상사법칙
#데이타로거
#가역법칙
#파서발의원리
원문링크 : 파서발의원리, 가역법칙, 상사법칙, 역자승법칙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