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한국거래소, 쓱하고 싹배우는 파생상품(2022) 미 증시 랠리 냉각? 파월 발언 경계하는 월가 [신인규의 글로벌마켓 A/S] 지난주까지 이어졌던 강력한 미 증시 상승 흐름이 조정받는 모습입니다.
투자심리에 부정적인 요인 가운데 하나로 '세계의 공장'으로 꼽히는 중국의 경기 부양책이 시장의 기대에 미치치 못한 점을 꼽을 수 있겠습니다. 불안감이 있기는 하지만 시장 참여자들의 포지션을 보면 아직은 비관론보다는 낙관론이 우세한 모습입니다.
미국의 5일 평균 풋/콜옵션 비율은 20일 기준 0.72입니다. 지난주보다 조금 오르긴 했지만 여전히 지난 1년래 최저 수준입니다.
보통 풋/콜옵션 비율이 1을 넘어가거나 급격히 상승하는 흐름이 나올 때를 투자심리 하락 신호로 봅니다. 한국경제TV, https://www.wowtv.co.kr/NewsCenter/News/Read?
articleId=A202306210019&t=NN, 기사 일부 발췌 앞서 옵션 가격결정요인에 대해 소개해 드렸는데요...
#OI
#약정수량
#예측지표
#옵션가격
#옵션거래지표
#옵션프리미엄
#잔존기간
#주식배당
#체결금액
#추세전환
#파생상품시장
#풋콜비율
#행사가치
#헤지거래
#약정대금
#시장방향
#개장시간
#거래대금
#거래량
#거래승수
#권리행사가격
#기초자산가격
#기초자산변동성
#기초자산시장
#단기금리
#미결제약정수량
#반대거래청산
#선물시장
#스왑상품
#현금배당
원문링크 : 파생상품 기초 (24) (feat. 옵션 거래지표) : 약정수량, 거래, 대금, 체결, 프리미엄, 가격, 미결제, OI, 반대청산, 예측, 시장방향, 추세전환, 풋콜비율, 스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