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한국 전통주’ 맛과 향 차이 밝혀


농촌진흥청, ‘한국 전통주’ 맛과 향 차이 밝혀

농촌진흥청, ‘한국 전통주’ 맛과 향 차이 밝혀 2024.11.29 농촌진흥청 우리나라 전통주 시장은 최근 몇 년간 꾸준히 성장하고 있다. 탁주, 약주, 청주, 증류식 소주 등 전통주류 출고액은 2022년 기준 약 1,629억 원으로 전체 주류 출고액의 약 1.63%를 차지하고 있다.* * 전통주 산업의 동향과 전망(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2023년 10호) 농촌진흥청(청장 권재한)은 최근 세계적으로 한국 전통 주류를 향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건국대학교와 함께 한국 전통주의 맛과 향을 결정짓는 대사체*를 과학적으로 밝혔다. * 대사체: 발효 중 미생물에 의해 생성되는 산물로, 유기산, 지방산, 당 등이 해당 연구진은 전통주 제조 중 생성되는 대사산물 정보를 바탕으로 각 주류의 고유한 풍미와 품질을 밝히고자 케이(K)-농식품 성분 활용 기반 고도화 공동연구사업을 통해 전통주 48개를 수집해 성분을 비교했다.

그 결과 33종의 유의미한 대사체를 식별했다. 대사체 분석 결과, 탁...



원문링크 : 농촌진흥청, ‘한국 전통주’ 맛과 향 차이 밝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