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을 찾은 행안부와 17개 시도 - 제주에서 제10회 중앙지방정책협의회(시·도 부단체장 회의) 개최(12.8) - 빈집 활용 대책 중심 논의 및 빈집 활용 숙박시설 방문 전국적으로 빈집이 증가하면서 도시미관과 주민안전 문제뿐만 아니라 주거환경이 나빠져 지역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치는 등 사회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방치된 빈집을 새로운 공간으로 구성해 지역 일자리, 수익창출 등 지역 경제 활성화 및 환경개선에 기여하는 사례가 주목받고 있다.
다자요는 소유자가 관리하기 어려운 빈집을 10년간 무상임대 받아 지역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숙소로 리모델링하여 소비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하고, 빈집소유자에게는 공간관리 및 가치보존을 통해 빈집을 환원하고 있다 제주 ‘북촌포구집’은 80년대 지어져 해녀가 살던 빈집이었으나, 다자요가 리모델링해 ’22년 1월부터 일반고객, 회원제 및 기업복지(워케이션) 장소로 활용되고 있다. 하나투어, LG전자 등과 ...
#건축물등의명세
#세입자현황정리
#세입자현황조사
#재개발국공유지
#재개발세입자
#지장물
#지장물조사
#지장물조사용역
#지장물현황정리
#세입자조사용역
#세입자조사
#빈집문제해결
#공작물등의명세
#국공유지
#국공유지매수용역
#국공유지무상양도
#국공유지무상양여
#국공유지협의매수
#다자요
#북촌포구집
#질그랭이센터
원문링크 : 빈집 문제 해결을 위해 현장을 찾은 행안부와 17개 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