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 똑똑하지만 가르치는 방식은 형편없는 선생님을 만난 적이 있는가? 아니면, 전문가가 전문 용어를 너무 많이 써서 설명을 따라갈 수 없었던 경험을 한 적은 없는가?
이를 1989년 경제학자 콜린 캐머러(Colin Camerer), 조지 로웬스타인(George Loewenstein), 마틴 베버(Martin Weber)가 처음 사용한 개념인 '지식의 저주(Curse of Knowledge)'라고 한다. 지식의 저주란 다른 사람들이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배경 지식을 가지고 있다고 과대평가하여 잘못 가정할 때 발생하는 인지적 편향이다.
예를 들어, 똑똑한 교수는 새로운 과목을 배울 때 어린 학생이 직면하는 어려움을 더 이상 기억하지 못할 수 있다. 이처럼 전문가들은 자신이 알고 있는 것을 다른 사람도 당연히 알고 있다고 여기며, 개념을 단순화해야 할 필요성을 간과하기도 한다.
카네기 멜론 대학의 정치 및 전략 연구소 교수인 바루크 피쇼프((Baruch Fischhoff)는 다음과 같이...
#생성효과
#지식격차
#지식의저주
#커뮤니케이션
원문링크 : 지식의 저주를 피하는 커뮤니케이션 전략 5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