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경패철과 풍수지리학의 구궁도 #00250


나경패철과 풍수지리학의 구궁도 #00250

제 블로그에서는 구궁도에서 중궁이 상중궁과 하중궁으로 두 칸이라 사실상 십궁이죠? https://blog.naver.com/sajuwiki/222913829282 사주 신살 / 삼기귀인이 의미없는 이유 #00164 삼기귀인(三奇貴人) 표 사주 신살 삼기귀인은 기문둔갑에서 유입된 신살입니다.

기문둔갑에는 육의삼기(六... blog.naver.com 위 칼럼에서 풍수지리학의 구궁도가 명리학의 구궁도와 다른 점에 대해서 살짝 언급했었는데요. 명리학 구궁도 흰색은 따로 쓸 곳이 있어서 금은 회색으로 칠해 왔습니다.

풍수지리학 구궁도 오른쪽 그림들의 색깔을 비교해보시면 명리학의 구궁도와 풍수지리학의 구궁도는 궁의 모양이 다릅니다. 사정방의 오행은 같지만 사우방의 오행이 두 칸씩 밀렸습니다.

그리고 중궁의 대각선 방향도 반대입니다. 명리학 / 풍수지리학.

좌우 대칭인 것처럼 보이지만 색깔(천간)도 미묘하게 다르다. 명리학의 구궁도는 시계방향으로 도는 바람개비이고, 풍수지리학의 구궁도는 반시계방...


#3d #삼기귀인 #신살 #역학 #윤도 #이론 #패철 #풍수인테리어 #풍수지리 #풍수지리학 #하도낙서 #사주팔자 #사주 #비대칭 #3차원 #개운법 #개운학 #구궁도 #나경 #나경패철 #나침반 #명리학 #바람개비 #방위학 #해설

원문링크 : 나경패철과 풍수지리학의 구궁도 #00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