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주 명리학 / 사령 이론의 문제점 #00270


사주 명리학 / 사령 이론의 문제점 #00270

지난 칼럼에서 사주 명리학의 사령 기간 이야기를 잠시 했습니다. 사주매니아 만세력에서는 신금 사령 월지의 지장간 중의 하나가 빨간색으로 칠해져 있는 것이 사령입니다.

위 사주 예시에서는 축토가 고지니까 여기 9일, 중기 3일, 정기 18일 중에서 중기 3일 안에 태어났다는 뜻입니다. 요즘 만세력에서는 불연속적인 값(여기, 중기, 정기 중에 하나)으로 표기를 해주는데요.

옛날 만세력은 조금 달랐습니다. 사주팔컴에서는 기토 사령 아래쪽에 사령 기간을 확대해서 보여주는데요.

빨간색 선이 내가 태어난 공전각입니다. 자세히 보시면 빨간색 선이 노란색 기토의 영역에 있습니다.

즉 똑같은 시간을 입력했는데도 두 만세력의 사령이 다른 것입니다.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 이유는 만세력이 완벽하지 않기 때문입니다.

월지의 영역을 지장간에 따라 나눈다면, 경계시 출생자만 괜히 더 늘리는 꼴입니다. 기존에는 12개의 월지 경계면이 있었지만 지장간을 모두 따지게 되면 33개의 경계면이 되어버립니다.

사주팔콤이...


#24절기 #지장간 #조선시대 #월지 #월령 #원리 #사주팔콤 #사주팔컴 #사주팔자 #사주매니아 #사주 #사령기간 #사령 #비기 #명리학 #만세력 #당령 #천문대

원문링크 : 사주 명리학 / 사령 이론의 문제점 #00270